RIP 라우팅 설정
R1(config)#router rip // RIP 설정 모드 진입
R1(config-router)#version 2 // 버전 2 (1 = classful / 2 = classless)
R1(config-router)#network 10.10.10.0 // 자신이 가지고있는 모든~ 네트워크 대역입력
R1(config-router)#network 172.168.10.0 // 입력된 네트워크 정보를 인접 라우터들에게 광고합니다!
R1(config-router)#network 50.50.50.0
R1(config-router)#no auto-summary // 자동축약 방지 (서브넷팅 구분을위해, 주소 전체를 라우팅하는 classful 방지입니다.)
classful (서브넷을 구분하지않고 통째로 라우팅 ex: 127.10.10.1/24 네트워크를 classful 로 광고하
면 prefix (/24) 를 보내지 않기 때문에 127.0.0.0/8 광고 결과적으로 서브넷팅 구분 불가
classless (프로토콜이 서브넷을 이해할수있다 반드시 no auto-summary 명령어를 입력해야함)
라우팅 테이블 살표보기
R1#show ip route // 설정후 확인하는 습관!!
Codes: C - connected, S - static, I - IGRP, R - RIP, M - mobile, B - BGP
D - EIGRP, EX - EIGRP external, O - OSPF, IA - OSPF inter area
N1 - OSPF NSSA external type 1, N2 - OSPF NSSA external type 2
E1 - OSPF external type 1, E2 - OSPF external type 2, E - EGP
i - IS-IS, L1 - IS-IS level-1, L2 - IS-IS level-2, ia - IS-IS inter area
* - candidate default, U - per-user static route, o - ODR
P - periodic downloaded static route
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
10.0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C 10.10.10.0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0/3/0 //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 정보
20.0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R 20.20.20.0 [120/1] via 10.10.10.2, 00:00:14, Serial0/3/0 // 주변라우터들이 던져준 네트워크 정보
30.0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R 30.30.30.0 [120/2] via 50.50.50.1, 00:00:17, Serial0/3/1
[120/2] via 10.10.10.2, 00:00:14, Serial0/3/0
40.0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R 40.40.40.0 [120/1] via 50.50.50.1, 00:00:17, Serial0/3/1
50.0.0.0/24 is subnetted, 1 subnets
C 50.50.50.0 is directly connected, Serial0/3/1
C 172.168.0.0/16 is directly connected, FastEthernet0/0
R 192.168.10.0/24 [120/2] via 50.50.50.1, 00:00:17, Serial0/3/1 // R1 라우터 기준 192.168.10.0 대역으로 접근하려면 R5 (50.50.50.0 대역) 라우터를 타야함
R 211.104.73.0/24 [120/1] via 50.50.50.1, 00:00:17, Serial0/3/1
네트워크 흐름 살펴보기
< RIPv2 프로토콜을 이용해 주변 라우터들에게 네트워크정보를 광고>
< R5 라우터의 라우팅 정보를 넘겨받은 R4 라우터 >
'Network > Rou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atic 라우팅 (0) | 2018.09.12 |
---|